금주의 초특가 아수스 특별가 멀티 노트북 파격한정판매
무료배송 특별전 삼성노트북 파격전 사은품을 드립니다. 삼페인 무료증정
충격특별가전 테블릿 노트피씨 1+1 이벤트 사은품 증정
14명의 사회언어학 연구진들이 펼친 주요 국내 연구 성과와 전망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는 2015년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던 총서 제1권에 이어 나온 두 번째 책으로 지난 30년간 국내 사회언어학 분야에서 이룬 연구 성과와 앞으로 더 탐구되어야 할 연구 주제와 방향을 담고 있는 책이다. 이 책에서는 다양한 하위 분야와 주제(언어 변이, 성별어, 담화 및 대중 매체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논의하고 있다. 수평적인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에서 일어나는 언어 변화를 살펴보고 개선책을 제안하고 있다.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는 총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려 14명의 연구진들이 쓴 하위 분야별 연구 성과를 담고 있다. 각 장마다 국내 연구의 성과뿐만 아니라 한계성을 언급하며 앞으로 우리가 풀어야 할 과제들이 무엇인지 제시한다.
이 책은 연구자들이 현실 사회에서의 성에 대한 다양한 쟁점들에 대해 깨어있기를 요구한다. 성 평등을 지향하는 시각으로 언어와 성의 문제에 접근할 것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 사회에 증가하는 이민자나 소수자 집단의 언어 특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하고 있다. 우리가 공감할 만한 현 사회의 변화가 얼마나 많은 언어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는지 살펴보려면 이 책을 꼭 추천한다. 최근 이용이 증가하는 유튜브 중에 사용하는 음성 언어에 대한 전망도 담고 있다. 우리는 언어 변화가 사회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이 책은 우리가 개선해야 할 사회적 인식이 무엇인지 알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언어학을 연구하려는 학생과 연구자들에게 필독서로 추천한다.
키워드: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성과, 변화, 전망, 성별어, 담화, 대중 매체, 이민자, 소수자 집단
강현석 단국대학교 영어과 교수
강윤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김규현 경희대학교 응용영어통번역학과 교수
김해연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박동근 대진대학교 창의미래인재대학 교수
박용한 해군사관학교 인문학과 교수
박은하 대구대학교 성산교양대학 강사
백경숙 한양여자대학교 실무영어과 교수
서경희 한국외국어대학교 ELLT학과 교수
손희연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양명희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이정복 대구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장선미 호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조태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책머리에
발간사
제1장 서장
1. 한국 사회언어학의 발전 과정
2. 이 책의 구성과 내용
3. 국내 사회언어학 연구의 새로운 과제들과 전망
제2장 언어 변이와 변화
1. 언어 변이와 변화 연구의 성격 및 발전
2. 국내 연구의 주요 연구 성과들
3. 앞으로의 과제
제3장 언어와 성
1. 언어와 성 연구의 성격 및 전개
2. 국내 한국어 대상 연구의 주요 성과
3. 국내 외국어 대상 연구의 주요 성과
4.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
제4장 호칭과 경어법
1. 호칭과 경어법 연구의 흐름과 특징
2. 호칭과 경어법 연구의 주요 성과
3. 앞으로의 과제
제5장 담화 분석
1. 담화와 담화 분석에 대한 접근법들
2. 한국 사회언어학계의 담화 연구 주제와 성과
3. 요약과 앞으로의 과제
제6장 대화 분석
1. 대화 분석의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
2. 문법 관행
3. 상호작용 관행
4. ‘응용’ 대화 분석 및 개관 논문
5. 앞으로의 과제
제7장 매체 언어
1. ≪사회언어학≫으로 본 매체 언어 연구 동향 및 성격
2. 매체 언어 연구의 성과 분석
3. 문제점과 전망 및 과제
제8장 언어인류학
1. 한국 언어인류학의 전개와 발달
2. 언어와 문화
3. 언어와 사회
4. 언어 예술
5. 언어인류학의 확장과 변화
6.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
제9장 언어 의식과 언어 태도
1. 언어 의식과 언어 태도의 개념과 성격
2. 국내 연구의 주요 연구 성과
3.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
제10장 언어 접촉
1. 언어 접촉 연구의 개념과 연구 범위
2. 주요 연구 성과
3.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
제11장 언어 정책 및 계획
1. 언어 정책 및 계획의 분야와 연구 주제
2. 언어 정책 및 계획의 연구 동향
3. 언어 정책 및 계획 연구의 주요 논의
4. 시사점과 앞으로의 과제
제12장 사회언어학과 언어 교육
1. 언어 교육 연구에서의 사회언어학적 접근 개괄
2. 주요 연구 성과
3. 요약 및 앞으로의 과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