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초특가 아수스 특별가 멀티 노트북 파격한정판매
무료배송 특별전 삼성노트북 파격전 사은품을 드립니다. 삼페인 무료증정
충격특별가전 테블릿 노트피씨 1+1 이벤트 사은품 증정
놀지 않고 공부만 하는 아이는 바보가 된다
<여가학의 이해>는 2007년에 나온 <여가학의 이해>의 개정판이다. 개정된 <여가학의 이해>는 여가현상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연구 결과를 균형 있게 소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기존의 여가학의 이해에서 연구 방법론을 제외하고, 여가심리학 분야를 줄이는 대신, 사회 문화적 맥락과 여가의 관계 문제, 그리고 여가산업과 정책분야를 폭넓게 추가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현대 사회의 여가문제를 진단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초 개념을 소개하였다.
1부는 여가학 연구의 필요성, 여가 가치관의 역사적 변화, 여가개념에 대한 논의, 그리고 현대문명에서 대두하게 된 여가혁명의 특징과 배경을 정리하였다. 2부는 심리적 과정으로서 여가행동의 여러 특징을 정리하였다. 소비행동으로서 여가행동, 여가동기, 여가체험, 결과 및 개인차등을 다루었고 생애발달과 여가경험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재미의 개념적 구조와 재미달성 방법에 대한 이론 등도 포함하였다. 3부에서는 여가제약vs 여가지속성의 문제, 여가 과잉과 문제여가, 현대사회의 문제적 여가현상들, 그리고 사회문화적 맥락으로서 민감한 이슈와 여가의 관계를 다루었다. 4부에서는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었던 여가상담/교육/복지 등의 문제를 재정리하였고, 추가적으로 경제학적 접근과 여가정책과 제도적 관리의 실태를 소개하였다.
행복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나, 행복을 원하는 건 모두가 같은 마음이다. 건강한 것은 행복한 요소이고, 적당한 휴식은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행복한 휴식을 위해서는 개인의 역량과 경제적 요건, 사회적 요건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것을 연구하는 것이 여가학이다. 저자는 살기 팍팍해졌다고 느껴지지만, 그만큼 적절한 휴식이 필요한 이 시대에 독자들이 <여가학의 이해>를 통해 여가학에 대해 이해하고, 더 나아가 여가학을 삶에 적용시켜 다수의 삶에 행복한 휴식을 불어넣기를 기대한다고 이 책에서 밝혔다.
키워드: 여가학, 여가학의이해, 레저, 여가심리학
고동우
제주도 출신이다. 고려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부, 석사, 박사를 마쳤다. 미국 코네티컷 (Connecticut) 대학교에서 박사후연수 과정과 경기대학교 관광개발학과 대학원에서 BK21 박사후연구원을 거쳤다. 2003년부터 대구대학교 호텔관광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자는 여가관광심리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영역을 개척하였다. 지자체와 다양한 기관의 자문위원, 그리고 외부 강사로도 활동하였다. 독자적 이론으로 재미진화모형 등을 발표하였고, 약 100여 편의 논문과 저서를 냈다. 재미와 힐링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매진하고 있다.
제1부 여가학의 기초
제1장_ 여가학 소개
1. 여가 연구는 왜 필요한가?
2. 여가학의 성격과 영역
제2장_ 시대별 여가 가치관의 변화
1. 문명의 태동과 여가
2. 여가의 미분화와 분화
3. 우리나라의 여가 가치관
4. 현대적 의미의 여가 : 후기산업사회와 디지털 혁명
제3장_ 여가의 개념과 철학적 기초
1. 여가란 무엇인가?
2. 상대성 개념으로서 여가 현상
제4장_ 여가의 기준과 유사 개념
1. 여가 개념의 두 가지 준거
2. 여가와 유사 개념
3. 여가활동 종류의 구분 기준
4. 현대인의 여가 표상과 여가 목적
제5장_ 현대 사회와 여가혁명(Leisure Revolution)
1. 현대 사회의 구조적 특징
2. 현대 사회의 여가 특징
연구문제
제2부 여가행동의 이해
제6장_ 여가행동의 심리적 과정
1. 일반 소비자 행동 과정
2. 정보처리 중심의 소비자 행동 과정
3. 정보처리적 관점의 한계 : 쾌락/경험 중심의 관점
4. 동기론적 관점의 여가행동 과정
제7장_ 여가동기와 여가체험
1. 동기의 개념
2. 여가동기 모형
3. 지각된 자유감과 내재적 동기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 관점
4.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관계
5. 여가체험 과정
6. 여가체험의 종류
7. 여가체험의 핵심 : 재미(fun)
8. 재미 달성 방법
9. 여가체험과 결과에 미치는 다른 요인
제8장_ 여가경험의 결과와 생애 발달
1. 여가경험의 심리적 기능
2. 여가경험의 장기적 결과 : 삶의 질 향상
3. 여가경험과 생애 발달
제9장_ 여가행동의 개인차 : 성격, 가치관, 여가역량
1. 성격 개념과 5가지 패러다임
2. 성격 특질과 여가행동
3. 여가 연구에 적용되어 온 성격 개념들
4. 여가연구에서 대두된 성격 개념
5. 향후 연구
제3부 여가문제와 현대 사회문화
제10장_ 여가제약과 여가 지속성
1. 여가제약(leisure constraints)
2. 여가 지속성
제11장_ 여가과잉과 문제여가
1. 여가중독(Leisure Addiction)
2. 여가중독의 사례 : 도박중독
3. 탈규범 여가행동 : 반달리즘(Vandalism), 청소년 비행, 폭력 등
4. 다른 여가문제들
제12장_ 현대 자본주의와 사회적 여가문제
1. 여가의 획일화와 소외
2. 과시적 소비와 여가의 자본화
3. 여가의 향락화
4. 사행성 여가문화
5. 기술 문명의 의존과 소극적 여가
6. 희망 여가와 실제 여가의 괴리
7. 현대 여가문화의 향방
제13장_ 여가와 사회문화적 맥락 : 계급, 일, 성, 종교 등
1. 계급과 문화자본 및 여가
2. 일과 여가 / 여가와 일
3. 종교와 여가
4. 성(sex)과 여가
제4부 여가서비스 공급과 관리 : 교육, 산업, 정책
제14장_ 여가 상담/교육 및 여가복지
1. 여가교육의 개념과 목표
2. 여가교육과 치료의 영역 및 접근방식
3. 여가교육 및 치료 이론
4. 결론 : 효과적인 여가치료 및 교육 방법에 대한 전망
제15장_ 여가산업과 여가경영 : 경제/경영학적 관점
1. 여가수요와 여가공급
2. 여가산업의 개념
3. 여가산업의 분류 및 규모 : 여가공급의 관점
4. 소비자 중심의 여가시장 : 여가경영의 문제
5. 여가 마케팅 전략
제16장_ 여가정책과 제도적 관리
1. 여가 서비스의 공적 관리 : 여가정책의 개념
2. 여가정책의 추진도
3. 여가정책의 추진 과제
참고문헌